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728x90
반응형

교육218

[강의]16가지 사례로 메타버스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시간_김상균 교수(220801) 2020년과 2021년에 메타버스가 한창 인기가 있었다. 당시에 김상균 교수의 '메타버스'에 대한 책과 유튜브 강의를 들으며 이 분야에도 전문가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2022년 들어 주식시장 침체와 함께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 잦아들었다. 마침 김상균 교수가 회사에 와서 강의하는 것을 팀즈로 들었다. 강의 속에서 요즘 메타버스가 적용되는 사례를 보며 설명을 들으니 조금 더 메타버스를 친숙하게 느끼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아래는 김 교수의 강의를 요약한 것이다. ■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디지털 현실 이 다섯 글자만 기억하자. 물리적 현실과 디지털 현실이 있는데 둘 다 모두 현실이다. 질량과 부피가 존재하는 쪽이 물리적 현실이고 질량과 부피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 디지.. 2022. 8. 2.
[강의]BTS 피 땀 눈물부터 비주얼 리터러시와 미술작품 소개_상상이 세상을 만날 때_양정무 교수(220714) 2022년 7월 중순, 양정무 교수가 미술과 상상력에 대한 주제로 조찬 강의를 했다. 미술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은 직장인으로서 새로운 세상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가 했던 주요 강의 내용을 포스팅한다. 의사들이 미술을 볼 때는 미술이 진짜라고 생각하고, 나와 같은 사람은 미술이 약간은 가짜라고 생각하며 본다. 상상을 통해, 꿈을 통해 새로운 세계로 이끄는 매력있는 장르가 미술이다. 나는 미술사를 공부하는 사람이다. 미술이 마법이 되는 순간에 대해 다섯 가지로 나눠서 강의를 진행하겠다. 첫째, 천재들의 마음이 보일 때! 스티브 잡스 자서전에 있는 사진을 소개한다. 불치의 병을 앓며 자기의 자서전과 같은 기록을 남긴다. 미학적 가치를 제품에 집어넣는 애플이다. 자기 이미지를 어떻게 생각했을까를 고.. 2022. 7. 17.
[강의]2030년 교육과 노동시장의 급격한 변화 대비_인구학적 상상력으로 기획하는 미래가 필요하다_조영태(220707) 3년 만에 회사에서 조영태 교수를 다시 초청해서 인구 변화에 따른 대응방안에 대해 강의를 들었다. 50대를 시작하는 부부의 인생 후반전과 20대를 시작하는 세 자녀의 미래의 모습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래서 관심을 가지고 들었다. 크게 두 가지 인사이트를 얻었다. 첫째, 2030년 이후 우리 사회의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노동시장과 교육시장이 바뀐다는 점이다. 대학에 목을 메어 시험 중심으로 준비하기보다 자신이 해보고 싶은 분야에서의 경험과 실력이 중요해진다. 그리고 연금 고갈 이슈로 정년이 연장될 수밖에 없어 중년층의 지속적인 능력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인구구조는 정해져 있어 바꿀 수 없기에 기업이나 개인은 인구학적 상상력을 가지고 준비해야 한다. 우리보다 앞서서 고령화와 인구감소.. 2022. 7. 9.
[생활]에어컨 실외기 팽창밸브 통과된 차가운 저압관 단열로 에너지 효율향상(220703)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있어 더운 여름도, 추운 겨울도, 새싹이 돋아나는 장엄한 봄, 그리고 잎을 떨구며 한 해를 마무리하는 가을을 경험할 수 있어 복 받은 나라다. 7월 첫 주가 되니 35도를 넘는 뜨거운 여름 날씨에 에어컨을 틀게 된다. 밖에 날씨를 확인하기 위해 베란다를 지나 실외기쪽으로 가서 밖을 쳐다봤다. 그런데 위의 사진과 같이 차가운 배관이 대기에 노출되어 수증기가 표면에 응결되어 있는 게 보였다. 에어컨 설치시 사용한 단열재는 2년이 지나니 삮아서 손상이 되었다. 그대로 두면 실외기 팽창밸브를 통해 낮아진 온도가 실내로 들어오기 전에 노출된 배관으로 유지되지 않기에 조치가 필요했다. ① 바로 집안에서 적당한 재료를 찾다 아래 사진과 같이 사용하고 남은 단열재 조각을 발견했다. 그리고 길이를 확.. 2022. 7.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