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728x90
반응형

교육220

[용어]해거름의 의미 어원 사례 유사어 정리 소설 『설국』을 읽는 중에 '해거름'이란 용어를 만났다. 요즘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유년 시절에는 '해거름에 보자', '해거름에 놀러 와' 등 많이 사용했다. 정확히 '해거름'의 의미를 모르고 대략 저녁무렵으로 알고 있었다. 이번에 정의와 사례를 정리해서 포스팅한다. 산골짜기엔 일찍 응달이 지고, 어느새 차가운 해거름이 내려와 있었다. - 『설국』 55페이지정의해가 서쪽으로 넘어가는 일. 또는 그런 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어원'해'와 '기울다'라는 뜻의 옛말 '거름'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문학에서 사용 사례1. "해거름녘 짙은 어둠이 산 너머로부터 밀려오고 있었다." - 박경리 소설 '토지'2. "해거름 녘에 이삭을 줍는 노인의 모습을 통해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입니다." - 김종길 .. 2025. 2. 15.
[강의]로봇이 이끄는 제조업의 미래-자율 제조 autonomous manufacturing 카이스트 장영재 교수의 최신 제조업 트렌드에 대한 멋진 강연을 들었다. 로봇, 인공지능, 챗GPT 등을 모두 적용한 가장 이상적인 제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율 제조'에 대한 강의였다. 초반에 보여준 현대자동차 그룹에서 싱가포르에 세운 공장 사례는 앞으로 제조업이 갈 길을 보여준다. 우리 나라 대표 기업들이 미국에 대규모의 투자를 감행했다. 이때 기업들의 관점은 무인화, 자동화에 있었다. 공장 내 직원을 최소로 줄이기 위한 로봇 자동화, 한국에서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 등이 필요한 시점이다. 로봇 자동화를 넘어 공장 내 여러 로봇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해 환경을 파악하고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공장이다.인공지능, 로봇, 강화학습 등 개별적으로도 뛰어난 기술이다.하지만 이를 통합해서 자.. 2025. 2. 7.
[강의]2025 경제 전망 : 환율 하락 및 중국 상승 & 미국 견조_박소연 이사 국내의 정치적 혼란과 내수경제 침체, 미국의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 등 경제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런 시기에 '2025년 경제 전망'이라는 주제로 신영증권의 박소연 이사가 강의가 있었다. 유튜브에서 많은 전문가들의 얘기를 듣고 있지만, 박소연 이사의 강의는 처음 접했다.달러 환율에 대한 이야기, 미국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과 영향, 중국 경제 전망이 특히 유용했다. 내용을 요점은첫째, 원달러 환율은 2025년 정점을 찍고 내려올 것이다. CDS 프리미엄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여러 정책에 대한 영향을 예측해 본다. 셋째, 중국의 경기는 '24년 9월부터 반등했고, 한국은 '24년에 꺾이기 시작했다. 이하 강의 내용을 정리했다. ○ 제조업의 미래제조업의 미래를 잘 .. 2025. 1. 9.
[용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권 中 키치 Kitsch의 의미와 사례 2025년 1월 1일 새해가 밝았다. 뭔가 바람직한 계획을 세워야 할 것 같은 날이다.그래서 아내에게 독서를 함께 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아내도 흔쾌히 그럼 도전해 볼까 하며 책장에서 을 꺼내든다. 함께 책을 읽던 중에 아내가 '키치'가 뭐냐고 묻는다.  31페이지에 아래와 같은 문장에서 나온 단어다. "요즘 새로 만드는 불화(佛畵)들은 전통 불화도 아니고 신식 불화도 아닌 '이발소 그림의 불화적 재생산'이라고나 할 무성격한 키치의 만연이라고 하겠는데 이 불화는 그렇지가 않다"'키치'의 의미와 사례 세 가지를 아래에 정리했다. 이를 통해 키치란 미학 용어를 이해할 수 있었다. 키치(Kitsch)란  진정한 예술적 가치보다는 대중적인 감성과 유행을 따라 만들어진, 진부하고 저속한 예술이나 문화를 의미한다.. 2025. 1.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