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교육/강의83 [강의]모차르트 시대를 넘어 나폴레옹을 좋아했던 베토벤의 삶과 작품_민은기 교수 서울대 민은기 교수의 베토벤에 대한 강의로 베토벤의 삶을 조금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더구나 강의에서 소개되는 곡에 대한 짧은 피아노 연주도 직접 들을 수 있었다. 베토벤에 대해 책을 통해서 접했던 단편적인 정보들이 강의를 들으며 하나로 결합되었다. 베토벤의 삶은 유럽 역사의 큰 변혁기를 경험한다. 바로 프랑스 대혁명, 나폴레옹의 유럽 지배와 유배 그리고 다시 왕정복고로 이어지는 과정이다. 민은기 교수는 시간을 너무 짧다고 느낄 만큼 베토벤의 삶과 곡에 대해 재미있게 설명했다. 아주 유익한 시간이었고 민은기 교수의 책도 읽어 봐야겠다.강의가 끝나고 질의응답 시간에 민은기 교수가 쉴 때 즐겨듣는 클래식 음악이 있는지 물었다. 음악만 나오면 분석하려는 직업병이 있어 듣지 않는다고 해서 참석자들이 웃음을 .. 2025. 4. 24. [강의]초보자들을 위한 양자컴퓨터 원리와 종류 설명_채은미 교수 구글, IBM에서 양자컴퓨터를 발표하며 세간의 관심이 커졌다.현재 사용하고 암호체계를 쉽게 뚫을 수 있다는 뉴스도 있었다. 멀지 않은 시기에 기존의 1과 0으로 만들어진 컴퓨터 체계를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양자나 양자컴퓨터에 대해 잘 모른다.자주 사용되는 용어가 있지만 이해조차 어렵다. 회사의 조조강연에 양자컴퓨터 관련 콘텐츠로 유명한 고려대 물리학과 채은미 교수가 강사로 왔다.양자컴퓨터 초보자들에게 꼭 맞는 강의였다. 아주 유익한 시간이었다. 강의 내용을 정리해서 포스팅했다. 나와 같은 초보자들이 양자컴퓨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겠다.2022년 노벨물리학상이 양자분야에서 나왔다. 세 명의 교수가 Pioneering Quantum Information Science 분야에서 중요한 실험을 했다... 2025. 4. 15. [강의]정원희 교수의 저속노화 마인드셋_절식 스트레스 노잼활동 수면 자연식 베이비부머 세대가 대량으로 노인인구에 편입되는 시대다.건강한 노후를 원하는 만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었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을 보면 건강하지 않은 습관이 많다. 유튜브에서 노화에 대한 강의로 인기가 많은 정원희 교수의 직강을 들었다. 운동에 대해, 먹는 것에 대해, 마음챙김에 대해 분발하게 만드는 강의였다. 아래는 정원희 교수의 강의 내용을 정리했다. 참고해서 실천한다면 노후에 질병으로 고생하는 기간을 최대한 줄이며 노후를 보낼 수 있지 않을까.충분히 숙면을 취하면서 몰입해서 일하자. '찰스다윈, 아인슈타인, 허준이' 이 인물들의 공통적인 일하는 방식은? 하루에 최대 4시간만 일한다. Deep work 즉, 몰입을 잘한다. 한강 작가도 그렇다. 찰스 다윈은 1.5시간 일하고 푹 쉬고 1.5시간 .. 2025. 3. 31. [강의]로봇이 이끄는 제조업의 미래-자율 제조 autonomous manufacturing 카이스트 장영재 교수의 최신 제조업 트렌드에 대한 멋진 강연을 들었다. 로봇, 인공지능, 챗GPT 등을 모두 적용한 가장 이상적인 제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율 제조'에 대한 강의였다. 초반에 보여준 현대자동차 그룹에서 싱가포르에 세운 공장 사례는 앞으로 제조업이 갈 길을 보여준다. 우리 나라 대표 기업들이 미국에 대규모의 투자를 감행했다. 이때 기업들의 관점은 무인화, 자동화에 있었다. 공장 내 직원을 최소로 줄이기 위한 로봇 자동화, 한국에서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 등이 필요한 시점이다. 로봇 자동화를 넘어 공장 내 여러 로봇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해 환경을 파악하고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공장이다.인공지능, 로봇, 강화학습 등 개별적으로도 뛰어난 기술이다.하지만 이를 통합해서 자.. 2025. 2. 7. 이전 1 2 3 4 ··· 2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