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728x90
반응형

교육/용어56

[용어]걸맞은 & 걸맞는에서 표준말은 걸맞은 책을 읽다보면 구어체로는 당연했는데 문어체로 봤을 때 어색하게 보이는 단어를 만난다. '걸맞은'이 그런 사례다. 구어체로 익숙한 표현은 '걸맞는'이다. 그래서 의미와 사례를 정리해서 포스팅한다. 의미(출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 의미: 두 편을 견주어 볼 때 서로 어울릴 만큼 비슷하다.  - '걸맞다'라는 형용사에서 온 활용형이다. - 활용형은 '-은'만 결합해서 '걸맞은'으로 사용한다.    ※ '-는'은 동사에 붙어 현재를 나타내지만 형용사에는 붙이지 않는다.사례 세 가지1. 그의 용맹에 걸맞은 늠름한 자태가 보는 이들을 압도했다2. 그녀의 슬픔에 걸맞은 애절한 곡조의 음악이 흐르기 시작했다.3. 그의 업적에 걸맞은 웅장한 기념비가 도시 한가운데 세워졌다. 2025. 3. 26.
[용어] 버성기다의 의미와 사례 세 가지 "그럼에도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 앞에 떼 지어 몰려가는 일은 늘 버성겼다." - 김인정의 『고통 구경하는 사회』 11페이지김인정 기자의 책을 읽는 중에 '버성기다'는 단어를 만났다. 처음 만나는 우리말이라서 당황했다. 뜻을 몰랐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처럼 '용어' 항목에 포스팅한다. ● 의미 사물의 간격이 넓어 틈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다.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고 불편한 상태를 나타낸다. 분위기가 불편하고 어색한 상태를 나타낸다. ● 사례"나는 칼날 위에 섰고, 칼날은 나의 목을 겨누었다. 칼날은 나의 잔 뼈들을 버성기게 했다." - 김훈의 『칼의 노래』(2001) 중"두 사람 사이는 무슨 앙금 같은 것이 남아 늘 버성기었다." - 박경리의 『토지』(1969~1994) 중"방 안은 텅 비어.. 2025. 3. 5.
[용어]해거름의 의미 어원 사례 유사어 정리 소설 『설국』을 읽는 중에 '해거름'이란 용어를 만났다. 요즘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유년 시절에는 '해거름에 보자', '해거름에 놀러 와' 등 많이 사용했다. 정확히 '해거름'의 의미를 모르고 대략 저녁무렵으로 알고 있었다. 이번에 정의와 사례를 정리해서 포스팅한다. 산골짜기엔 일찍 응달이 지고, 어느새 차가운 해거름이 내려와 있었다. - 『설국』 55페이지정의해가 서쪽으로 넘어가는 일. 또는 그런 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어원'해'와 '기울다'라는 뜻의 옛말 '거름'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문학에서 사용 사례1. "해거름녘 짙은 어둠이 산 너머로부터 밀려오고 있었다." - 박경리 소설 '토지'2. "해거름 녘에 이삭을 줍는 노인의 모습을 통해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입니다." - 김종길 .. 2025. 2. 15.
[용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권 中 키치 Kitsch의 의미와 사례 2025년 1월 1일 새해가 밝았다. 뭔가 바람직한 계획을 세워야 할 것 같은 날이다.그래서 아내에게 독서를 함께 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아내도 흔쾌히 그럼 도전해 볼까 하며 책장에서 을 꺼내든다. 함께 책을 읽던 중에 아내가 '키치'가 뭐냐고 묻는다.  31페이지에 아래와 같은 문장에서 나온 단어다. "요즘 새로 만드는 불화(佛畵)들은 전통 불화도 아니고 신식 불화도 아닌 '이발소 그림의 불화적 재생산'이라고나 할 무성격한 키치의 만연이라고 하겠는데 이 불화는 그렇지가 않다"'키치'의 의미와 사례 세 가지를 아래에 정리했다. 이를 통해 키치란 미학 용어를 이해할 수 있었다. 키치(Kitsch)란  진정한 예술적 가치보다는 대중적인 감성과 유행을 따라 만들어진, 진부하고 저속한 예술이나 문화를 의미한다.. 2025. 1.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