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728x90
반응형

교육/강의81

[강의]엘론 머스크의 지구 구하기 경쟁에 뛰어든 임지순 석좌교수 포스텍 문명시민교육원에서 주관하는 10월 강의가 있었다. 울산대학교 임지순 석좌교수의 삶과 전 세계적인 기후이상 현황에 대해 듣는 기회였다. 세계적인 석학인 임지순 교수를 처음 만난 시간이었다. 전반부는 과학기술을 하는 학자로서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후반부에는 기후위기 현황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었다. 지난달 김정운 작가의 강의와 같이 시종일관 재미있는 강의는 아니었지만 이 시대의 화두인 기후위기에 대처하고 있는 사람들의 노력을 볼 수 있었다. 강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과학기술을 잘하기 위해서는 알아야 할 지식이 참 많다. 구체적인 행동 양식을 나열해 본다. 창조력 인내심 폭넓은 교양(경험, 독서) 도전 정신(개척 정신) :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다. 체력(육체+정신.. 2023. 10. 21.
[강의]인도네시아 대한민국에 어떤 의미일까_최경희 박사 우리나라의 무역구조에서 중국의 비중이 감소하고 동남아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그중에서도 인도네시아는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나라다.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최경희 박사의 강의가 있었다. 인도네시아에 대해 조금은 눈이 열리는 시간이었다. 강의 주요 내용을 정리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1973년 9월 18일에 수교해서 2023년 9월에 한-인니 수교수립 50주년이 되었다. 현안 1: 수도이전 2024년 2월에 인도네시아에서 대선, 총선 그리고 지방선거를 한 날에 치른다. 조코위 10년 동안 인도네시아는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수도이전에 대한 후보 간 이해 차이가 대선의 최대 이슈다. 신수도는 열대우림 65%, 녹지 10%, 식량생산지 및 도심지역 25%로 구성될 것이다. 저탄소 개발방식 및 친.. 2023. 9. 24.
[강의]한강 작가 북콘서트_소년이 온다 & 작별하지 않는다를 준비하는 과정과 인간의 본성 탐구(230923) 정약용도서관에서 주관하는 북콘서트에 처음 참석했다. 최근에 읽었던 의 저자 한강 작가라서 더 관심이 갔다. 아내와 딸과 함께 정약용도서관 2층 공연장 입구로 들어갔는데 이미 많은 사람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한강 작가는 이번 북콘서트에서 와 를 집필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조용하고 느린 말투로 관련된 사진을 보며 설명해 주었다. 글을 쓴다는 것이 머릿속에 있는 지식과 경험만으로 창작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시간이었다. 작가가 만들어낸 소설 속 가상의 환경에서 등장인물들이 보고 느끼는 모든 면을 글로 창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대를 이해해야 하고 당시의 환경을 알아야 하고, 사람들의 심리를 찾아들어가야 한다. 5.18 광주 민중항쟁에 관련된 소설 , 4.3 사건과 관련된.. 2023. 9. 23.
[강의] 전통과 현대 수묵_소산 박대성 화백의 그림과 삶에 대해_포스텍 문명시민강좌(230914) '소산 박대성 화백'이 주인공인 포스텍 문명시민강좌에 참석했다. 내가 모르는 수묵화의 세계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생각으로 신청했다. 학창 시절에 미술시간마다 필요한 물품을 준비해 가야 하는 것이 싫었다. 그래서 미술 과목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고, 그림과는 멀어진 삶을 살아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관심의 폭이 넓어지고 예술 분야에 대해서도 호기심이 늘었다. 마침 수묵화의 대가라고 하는 소산 박대성 화백의 그림과 삶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저녁 7시부터 9시까지의 2시간이 아주 짧게 느껴질 정도로 화가의 그림은 웅장했고, 삶은 파란만장했다. 강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해서 포스팅한다. 1. 도입부 미국 뉴햄프셔에 있는 다트머스대학교 미술사학과 김성림 교수가 박대성.. 2023. 9.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