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애덤 그랜트 Adam Grant
- 추천지수 : ★★★★★
- 소감
- 책에서 발췌
83) "창의력을 발휘하려면 실수를 많이 해봐야 한다. 어떤 실수가 건질 만한 실수인지 식별해내는 것이 비결이다" - 스콧 에덤스 Scott Adams
좋은 콘텐츠를 널리 퍼뜨려 공유하게 만드는 업체인 Upworthy
108) 경영진은 위험 회피 성향이 높다. 그들은 좋은 아이디어에 재정적인 지원을 하기보다는 시시한 아이디어에 투자하지 않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부정 오류를 많이 저지른다.
110) 사람들은 특정 분야에서 지식을 쌓으면 이미 존재하는 지식의 포로가 된다.
114) 사람들이 동료 집단의 평가에 신경을 쓰는 또 한 가지 이유는, 동료 집단이 가장 믿을 만한 평가를 내려주기 때문이다.
117)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예측하는 확률을 높이려면, 다른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평가하기 전에 자기 아이디어를 내야 한다.
122) 노벨상 수상 과학자들은 노벨상을 수상하지 않은 과학자들보다 예술 활동에 관여하는 확률이 훨씬 높았다.
123) 예술 활동은 단순히 독창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전문 영역에서 창의력을 발휘하는 강력한 원동력이 되어준다.
124) 과학자, 기업가, 발명가들이 예술 활동을 함으로써 경험의 폭을 넓혀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견하듯이, 우리도 다양한 문화와 접함으로써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창의성이 뛰어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그들은 어린 시절 동료 집단보다 훨씬 자주 이사를 다닌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을 접하고 유연한 사고와 적응력을 길렀다고 나타났다.
127) 다양한 경험이 창의성을 북돋워준다는 증거들이 있다. 사람들은 지식의 기반을 다양화하면, 독창적인 생각을 시도하고 색다른 지식을 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람들은 낯선 문화권에서 살았던 시절을 떠올리면 창의성이 증가하고, 두 가지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하나의 언어밖에 구사하지 못하는 사람보다 더 창의적인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129) 사람들은 자신이 경험을 많이 쌓은 분야에서만 직관이 정확히 맞는다.
130) 낯선 물건에 대해 한 발 물러서서 찬찬히 평가해야 한다. 비전문가는 철저한 분석을 할 경우에 더 적절한 판단을 내린다.
131) 상품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아니다. 가치는 고객이 창출한다.
136) 성공의 덫 (success trap)
137) 직관에 의존하는 투자자들일수록 창업자의 열정에 설득당할 확률이 높게 나타난다.
138) 진정으로 열정적인 사람들은 열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열정을 가슴 속에 간직한다.
140) 그는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시장 견인 Market Pull 전략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일방적으로 만든 신기술을 시장에 공급하는 기술 주도 Technology Push 전략을 밀어붙이는 실수를 했다.
149) 발전도 하고 물도 데울 뿐만 아니라 소음도 없고 연료 효율도 높은 기계인 새로운 스털링 엔진 Stirling Engine도 발명했다. 이 엔진은 Slingshot 정수기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쓰이는데, 이 정수기는 어떤 물도 증류해서 식수로 만들 수 있고 여과기도 필요 없으며, 연료로 소똥을 쓸 수도 있다.
157) 그 지위를 얻기 위해 그녀는 이전과 다르게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해야 했다. 신뢰를 잃기보다는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말하는 방법 말이다.
162) 메디나는 그런 지경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가 계속 자기주장을 내세우면서, 지위 없이 권한을 행사하려고 하자 동료들은 점점 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위는 주장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아야 생긴다.
전설적인 영화 제작자 Francis Ford Coppola가 지적한 바와 같이 "권한은 단순히 기존 체제에 도전해서 얻어지는 않는다. 일단 기존 체제 내에서 지위를 확보한 후에, 기존 체제에 도전하고 뒤엎어야 얻어진다."
164) 내가 지금 이 자리에서 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해 보이면, 훨씬 더 큰 변화를 가져올 씨앗을 뿌릴 기회를 얻게 되리라고 생각했다.
괴짜 점수는 지위를 통해 얻는 것이 아니라 동료들의 인정을 받아야 생긴다. 기여도에 따라 결정된다.
174) 지나치게 낙천적인 사람을 '폴리애나'라고 일컫는데, 이는 1913년에 앨리노어 포터 Eleanor Porter가 쓴 소설 <폴리애나>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의 이름에서 나온 말이다.
182) Chip Heath와 Dan Heath는 그들의 저서 <스틱 Made to Stick>에서 "듣는 사람에게는 멜로디가 들리지 않는다. 들리는 것이라고는 해괴한 모스부호처럼 탁자를 아무렇게나 치는 소리뿐이다"라고 밝혔다.
186) "익숙함은 경멸을 낳지 않는다. 편안함을 불러일으킨다"라고 창업을 여러 번 해본 하워드 툴먼Howard Tullman은 말한다.
187) 당신이 상사에게 제안을 할 경우, 화요일 엘리베이터 안에서 30초 동안 짧게 설명한 뒤, 그다음 주 월요일에 다시 짤막하게 상기시켜주고, 그 주 말미쯤에 상사의 의견을 구하는 것이 좋다.
191) 상대에 대해 깊이 아끼는 마음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자신이 행동하면 바뀌리라는 믿음이 있어야만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게 된다.
194) 한편 까칠한 상사들은 의견을 낸 직원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직원들이 효과적으로 자기주장을 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196) 위계질서의 중간층(대부분의 직원들은 조직 내에서 이 부류에 속한다)은 불안감에 사로잡혀 있다. 이제 겨우 어느 정도 존중을 받게 되었기 때문에 집단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그것을 위태롭게 만드는 일은 하지 않으려 한다.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거나 승진하기 위해서 지도자에게 순응하고, 조직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가치를 입증하기 위해 순응하는 길을 택한다.
201) Sheryl Sandberg는 저서 <린인 Lean In>에서~
204) 일사부재리(一事不再理, 라틴어: ne bis in idem)은 판결이 내려진 어떤 사건(확정판결)에 대해 두 번 이상 심리·재판을 하지 않는다는 형사상의 원칙이다. 일사부재리의 원칙은 로마 시민법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민사사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208) 일을 해내는 사람, 그것도 훌륭하게 해내는 사람으로 알려지면, 다른 사람들로부터 존중받게 된다
209) 틀렸다고 생각되는 아이디어에 대해 기꺼이 도전장을 내민 덕에 두빈스키는 승진을 했다. 그녀가 유일한 사례는 아니다. 1981년부터 매킨토시 개발팀은 해마다 잡스와 맞서는 사람 한 명을 선정해 상을 주었다. 그리고 잡스는 그 상을 받은 사람은 모두 승진시켜 애플의 주요 부서를 맡겼다.
214) 사람들은 대체로 어떤 행동이 실수로 판명이 나는 한이 있어도 행동을 해서 후회하는 경우보다 안 해서 후회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다시 기회가 주어진다면,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검열을 덜 하고 자신이 지닌 아이디어와 가치를 좀 더 적극적으로 표명하려고 할 것이다. 그게 바로 카멘 메디나와 도나 두빈스키가 한 선택이고, 그 덕분에 두 사람에게는 후회가 남지 않았다.
223) 미루는 행동은 위험해 보일지 모르지만, 적당한 때를 기다리면 위험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실제로는 위험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229) "과학적인 작업을 할 때는 아이디어가 숙성할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시간 끌기는 "설익은 해결책을 내리려는 충동을 억제하는 하나의 방편이다."라고 말했다.
233) 1927년 러시아 심리학자 블루마 자이가르닉은 사람들이 완성된 작업보다 미완성 작업에 대해 더 잘 기억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사람들은 작업이 일단 마무리되면, 더 이상 그 작업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을 중단한 채로 내버려둘 경우, 그 일에 대한 생각이 머릿속을 계속 맴돈다.
241) "적절한 시기를 포착하는 일이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데 42퍼센트의 비중을 차지했다."
247) "선발 주자로 나서는 것은 전술이지 목표가 아니다"라고 Peter Thiel은 <제로 투 원 Zero To One>에서 말했다.
249) 1840년대 헝가리의 의사 이그나즈 제멜바이스Ignaz Semmelweis는 의대 학생들에게 손만 잘 씻게 해도 분만시술을 할 때 사망률을 급격히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그의 동료 의사들은 그의 생각을 비웃었고, 그는 정신병원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다.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나 루이 파스퇴르와 로베르트 코흐가 세균학의 기반을 닦고 나서야, 제멜바이스의 주장은 과학적인 정당성을 얻게 되었다.
253) 영화계에서는 25세에 첫 작품으로 걸작 영화 <시민 케인 Citizen Kane>을 만든 Orson Welles가 있다면, 감독에 입문하고 30년이 지나서야 작품들 가운데 가장 인기 있는 영화 세 편인 <현기중 Vertigo>,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North by Northwest>, <사이코 Psycho>를 각각 59세, 60세, 61세에 만든 알프레드 히치콕 Alfred Hichicock이 있다.
255)
'독서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습관159_자녀양육 방법 세 가지를 배우다_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_최진석_2015_위즈덤하우스(190427) (0) | 2019.05.04 |
---|---|
[과학]156_물리학의 최전선 The Edge of Physics_아닐 아난타스와미_2011_Human Science(190418) (0) | 2019.04.14 |
[과학]154_모양 Shapes: Nature's Patterns_필립 볼 Philip Ball_2014_사이언스북(190413) (0) | 2019.04.14 |
[소설]153_이방인_알베르 카뮈_외국문학 오디오북(190402) (0) | 2019.04.07 |
[인물]152_마일즈 데이비스_존 스웨드_2015_오픈하우스(190406) (0) | 2019.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