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86 [900]삼체 ①_삼체 문제 The Three Body Problem 넷플릭스에서 영화 를 아주 재미있게 봤다. 이 영화는 중국 작가 류츠신의 원작 소설 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원작 소설 삼체 1권, 2권, 3권을 모두 읽었다. 소설은 영화와 많이 달랐다. 중국인 작가가 중국인들을 독자로 쓴 소설이라 중국인이 주인공이고 주변인물과 언어도 중국 중심이다. 하지만 영화는 런던을 배경으로 영어를 사용한다. 소설이 더 풍성한 내용과 표현, 그리고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래서 나는 소설을 더 좋아한다. 삼체의 경우 영화를 재미있게 본 후에 소설을 봤기에 소설도 재미있게 읽었다. 반대의 경우라면 영화가 재미없었을 것이다.삼체 1권이 가장 재미있고 영화의 내용과 유사하다. 작가 류츠신이 1권을 쓰고, 2권, 3권으로 가면서 점차 힘에 부쳤다는 느낌을 받았다. 왜냐하면.. 2024. 6. 16. [899] 분배 정치의 시대_일자리 감소 시대 남아공 사례로 보는 기본소득 필요성 제임스 퍼거슨의 책 를 읽었다.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일자리가 감소하는 시대에 남아공의 사례를 들어 기본소득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물질적 빈곤과 실존적 빈곤이 동시에 심화되며 타인의 고통을 대면하기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다.누구나 이 세계에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존재 자체만으로도 기본소득과 같은 일정한 몫을 요구할 자격이 있다고 주장한다. 자신의 삶을 국가가 아닌 개인이 책임져야 한다며 각자도생의 분위기를 당연하게 여기는 대한민국에서 무엇이 국민의 행복을 위한 길인가 통찰을 주는 책이다.제임스 퍼거슨의 가 전하는 주요 메시지를 세 가지로 요약해 포스팅한다.물질적 빈곤과 실존적 빈곤이 동시에 심화되면서 타인의 고통과 대면하기를 점점 거부하는 한국 사회에서 기본소득이, 이 세계에 현존한다는 것만으로 그 .. 2024. 6. 14. [898]하나일 수 없는 역사_르몽드 역사 교과서 비평 르몽드에서 출간한 는 많은 사진과 함께 새로운 각도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재미를 주는 책이다. 우리가 교실에서 배우는 역사란 객관적인 사실인가라는 의문을 던지는 책이다.역사학자의 역할은 찬양이나 비난이 아니라 설명하는 것이라고 한다. 역사는 현재의 정치나 국제관계에 종속되지 않아야 한다. 역사학자는 오늘날의 이념적 도식에 과거를 끼워 맞추지 않아야 한다. 역사는 오늘날의 감수성으로 판단되어서도 안된다. 이 책 는 세계의 역사 속에서 있었던 일과 이를 왜곡해서 가르치는 각 나라의 교과서를 비판하고 있다. 많은 학생들과 역사를 가르치는 교육자나 관련 공무원, 역사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이 참고하면 좋겠다.르몽드에서 출간한 는 우리가 배우는 역사가 과연 객관적인 사실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역사학자의 역할과.. 2024. 6. 8. [897]수면혁명_건강과 창의성 및 생산성에 미치는 수면의 영향 잠이 부족한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적정한 수면시간은 얼마일까. 아리아나 허핑턴은 에서 현재의 수면시간이 많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이 책은 '매일 밤 조금씩 인생을 바꾸는 숙면의 힘'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건강한 삶을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안내한다. 허핑턴의 책 은 독자들에게 수면의 중요성과 이로 인한 삶의 변화를 강조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실질적인 조언을 하고 있다. 책이 전하는 메시지를 세 가지로 포스팅한다. "수면 방해로 바뀌는 것은 종양이 아니라 면역 체계다. 다시 말해 수면을 방해받을 경우, 면역 체계가 암에 대처하는 방식이 바뀌어 암이 더욱 공격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135) 첫째, 수면의 중요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허핑턴은 수면이 단순한 휴식 이상.. 2024. 6. 8.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49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