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728x90
반응형

라이프519

[시] 하루_박노해 김희삼의 책 168~169p에서 소개된 박노해의 시 '하루'입니다.저자는 일과 행복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에서 이 시를 인용했습니다. 시의 내용이 글과 잘 어우러져 마음에 다가옵니다. 그래서 포스팅하며 기억을 남깁니다. 하루 여명은 생의 신비다. 밤이 걸어오고 다시 태양이 밝아오면오늘 하루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다. 짐을 진 발걸음은 무겁고 느리지만이 삶의 무게에 사랑이 있고 희망이 있다면 기꺼이 그것을 감내할 힘이 생겨나느니나는 하루하루 살아왔다. 감동하고 감사하고 감내하며 2024. 9. 21.
[노래]Lenka의 The Show 가사를 음미해 보자 김희삼의 책 에서 렌카 Lenka의 노래 'The Show'가 의미 있게 소개됩니다. 영화 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노래입니다. 이 영화를 보며 미국 프로야구를 새로운 각도에서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느낌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이 노래 The Show의 가사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았지요. 에서 저자는 이렇게 영화와 노래의 관계를 독자에게 알려줍니다.  일과 관련해서도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영화 (2011)의 마지막 장면에서 오클랜드 애슬래틱스의 단장 빌리 빈(브래드 피트 분)은 선택의 갈림길에 선다. 고민에 빠진 그는 차에서 어린 딸이 아빠에게 들려주려고 녹음한 라는 노래를 들으며 눈시울이 촉촉해진다. 그는 어떤 선택을 내렸을까? - 164p이 노래가 우리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이해하기 쉽게 .. 2024. 9. 20.
[단상]트레드밀의 시작은 교도소 수감자들로부터 김희삼의 책 89페이지에서 트레드밀의 시작에 대해 설명합니다. 짐 Gym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운동기구가 원래는 수감자들의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한 장치에서 유래했다는 내용입니다. 흥미로운 내용이라서 함께 공유하고자 포스팅합니다. 인류 문명의 발전에는 혁신이 필요합니다. 그 혁신의 이면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활동이 있습니다. 다양한 인류의 행동의 결과물이 점들이 됩니다. 누군가는 이 점들을 연결해서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 냅니다. 이 작품이 인류에게 기대 이상의 유익함을 가져올 때 우리는 혁신적인 작품이라고 합니다. 아이폰이 좋은 사례입니다. 트레드밀이라고 하면 운동기구 중 하나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레드밀을 운동기구로 착안한 사람 이전에 유사한 기능을 수감자들에게 먼저 적용했던 사람이 있었습니다. 인.. 2024. 9. 20.
[여행]전북 임실의 옥정호 출렁다리와 붕어섬 생태공원 ① 전주를 다녀왔습니다. 전주 주변에는 다녀볼 만한 곳이 많습니다. 그래서 늘 전주를 갈 때면 주변 관광지를 찾아보곤 합니다.이번에는 전북 정읍과 임실에 걸쳐있는 옥정호를 둘러봤습니다. 그 중에서도 '옥정호 출렁다리'를 방문했습니다. 주변을 잘 정리해서 관광지로 만들었습니다. 옥정호 안에는 붕어처럼 생긴 섬이 있습니다. 이 섬을 연결하는 다리를 놓았습니다. 그리고 붕어섬은 생태공원으로 조성해서 관광자원으로 만들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아직도 섬 안에 공사 중인 곳이 많았습니다. 출렁다리 입구에서 붕어섬으로 가는 길입니다. 출렁다리 중간에는 전망대가 있습니다. 전망대는 입구와 출구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금요일이라서 관광객은 아주 많지 않아 좋았습니다. 뜨거운 여름 햇살이 누그러지고 구름도 있어 습도만 약간 높을.. 2024. 9.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