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설국』을 읽는 중에 '해거름'이란 용어를 만났다.
요즘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유년 시절에는 '해거름에 보자', '해거름에 놀러 와' 등 많이 사용했다.
정확히 '해거름'의 의미를 모르고 대략 저녁무렵으로 알고 있었다.
이번에 정의와 사례를 정리해서 포스팅한다.
산골짜기엔 일찍 응달이 지고, 어느새 차가운 해거름이 내려와 있었다. - 『설국』 55페이지
정의
해가 서쪽으로 넘어가는 일. 또는 그런 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원
'해'와 '기울다'라는 뜻의 옛말 '거름'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
문학에서 사용 사례
1. "해거름녘 짙은 어둠이 산 너머로부터 밀려오고 있었다." - 박경리 소설 '토지'
2. "해거름 녘에 이삭을 줍는 노인의 모습을 통해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입니다." - 김종길 시인 '해거름 이삭줍기'
3. "소녀는 해거름까지도 냇가에서 물장난을 쳤다." - 황순원 소설 '소나기'
4. "징과 꽹과리 울음소리/ 춤추는 사람들 그림자/ 해거름 녘 밭고랑에 어룽거린다." - 신경림 시인 '농무'
유사한 용어들
- 저물녘: 해가 질 무렵을 나타내는 말로, 해거름과 가장 유사한 의미
- 황혼: 해가 질 때의 어스름한 빛깔이나, 해 질 녘의 시간대를 의미
- 석양: 저녁때의 햇빛을 의미하며, 해거름과 비슷한 시간대를 나타냄
- 노을: 저녁때 하늘이 붉게 물드는 현상을 의미하며, 해거름과 관련된 풍경을 묘사할 때 사용될 수 있음
728x90
반응형
'교육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권 中 키치 Kitsch의 의미와 사례 (1) | 2025.01.01 |
---|---|
[용어]TISAX 인증의 배경 비용 효과 대상 절차에 대해 (1) | 2024.09.23 |
[용어]몬도가네 Mondo Cane의 유래 의미 적용 사례 (3) | 2024.09.22 |
[용어]개뿔도 모른다의 유래와 의미 그리고 작품 속 사례들 (0) | 2024.09.10 |
[용어] 군자생비이야君子生非異也 선가어물야善假於物也_유래와 의미 (1) | 2024.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