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라이프

페트병 지퍼백 등 다양한 포장용 플라스틱의 종류를 알고 분리배출해요(210127)

by bandiburi 2021. 1. 27.

(from ecomedia.co.kr)

우리는 플라스틱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우리에게 편리함을 안겨주었습니다. 집을 지을 때도, 음식을 먹을 때도, 옷을 입을 때도, 의식주가 모두 플라스틱의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플라스틱이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떤 위험이 있는지 잘 모르는 게 현실입니다.

분리수거를 하기 위해 다양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분류하느라 고민한 적이 있을 겁니다. 그래서 책 <잘 버리면 살아나요 지구를 구하는 분리배출 생활을 위한 50가지 질문>의 내용을 참고해서 플라스틱의 종류를 정리했습니다. 참고로 보통 재활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에는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뜻으로 화살표로 연결된 삼각형이 표시되어 있는데, 그 안에 1부터 7까지 번호가 적혀 있습니다.
- 1번은 페트 PET,
- 2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3번은 염화비닐PVC,
- 4번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5번은 폴리프로필렌PP,
- 6번은 폴리스타이렌PS,
- 7번은 OTHER입니다.

(from Wikimedia Commons)


1번과 2번은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숫자가 커질수록 독성이 강하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주의해서 보지 않았는데 꼭 챙겨서 봐야겠습니다.

728x90


① 합성수지

- 천연수지와 비슷하게 만든 합성 고분자 물질로 섬유나 고무로 이용되는 것을 제외한 합성수지가 보통 우리가 플라스틱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 재활용 분리배출 표시에 'OTHER'라고 되어 있으면 기타 all other resins 플라스틱 범주에 속합니다.
- 게임기나 대용량 물통, 스마트폰 케이스 등에 사용됩니다.
- 재활용분류표 7번이자 'OTHER'라고 표기되기도 하는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이 주원료입니다. 비스페놀 A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이고 포스겐은 독극물입니다. 녹이면 고약한 냄새와 까만 연기가 납니다.

(from Wikimedia Commons) 장난감용 ABS


②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 일반 플라스틱보다 충격과 열에 강한 합성수지입니다.
- 아이들 장난감, 가구, 자동차용품, 전자기기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됩니다.

(from Wikimedia Commons)


③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라 불리며 암을 유발하거나 호르몬을 교란한다고 의심되는 화학 물질은 나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H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다 유연성이나 가공성은 떨어지지만 강도가 우수합니다.
- 단단한 플라스틱 용기, 고온 살균하는 우유병, 페트병 뚜껑 등을 이 소재로 만들고 있습니다.

(from Wikimedia Commons)


④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라 불리며 방수성, 내구성, 투명성이 좋습니다.
- 포장용 비닐이나 지퍼백 등으로 사용됩니다.

⑤ SAN (styrene-acrylonitrile)

- 투명성과 광택성이 높은 플라스틱으로 충격이나 화학 물질에 견디는 성질도 강합니다.
- 사무용 기기나 화장품 용기 등 여러 제품에 사용됩니다.

(from pixabay.com)


⑥ PA (polyamide)

- 나일론이 합성 폴리아미드의 대표적인 소재입니다.
- 강도와 염색성이 뛰어나 섬유로도 많이 쓰이고, 잘 마모되지 않는 성질이 있어 톱니바퀴 등 기계부품으로 많이 쓰입니다.

(from pixabay.com)


⑦ PC (polycarbonate)

- 폴리카보네이트는 충격이나 열에 강하고 투명성이 있어서 다양한 제품에 널리 사용됩니다.

(from pixabay.com)


⑧ PE (polyethylene)

- 열에 강한 소재로 열을 가하면 부드럽게 변해 가공하기 쉽습니다.
- 많은 생활용품 제조에 사용되며, 비교적 안전한 소재로 알려져 있어 아이들 장난감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from pixabay.com)


⑨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페트병의 소재입니다. 투명하고 가볍고 잘 깨지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페트병을 재사용한다고 해서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으며 독성 면에서 어느 정도 안전하다고 했습니다.
- 음료수병이나 생수병, 간장병, 식용유병 등에 사용됩니다.
- 한국과 일본은 PET, 미국은 PETE로 표기합니다.


(from Wikimedia Commons) PP red


⑩ PP (polypropylene)

- 폴리에틸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고분자 재료입니다.
- 열을 가하면 부드럽게 변하는 성질(열가소성)이 있고, 가볍지만 강도가 높으며, 끓는 물에 소독할 수 있습니다.
- 의자, 카펫, 이불솜, 식기(수저, 접시, 쟁반, 도시락통 등), 쓰레기통, 쓰레받기, 물바가지 등 다양한 물건으로 사용됩니다.

(from pixabay.com)


⑪ PS (polystyrene)

- 폴리스타이렌은 열가소성이 있는 플라스틱 중 하나로 가볍고 맛과 냄새가 없습니다.
- 가볍고 저렴한 소재지만 열을 가하면 발암물질이 나올 수 있습니다.
- 플라스틱 숟가락이나 요구르트 병, 스티로폼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from Wikimedia Commons)

⑫ PVC (poly vinyl chloride)

-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중 하나입니다. 염화비닐이 주요 성분으로 폴리염화비닐 또는 염화비닐수지라고도 합니다.
- 원래는 딱딱한 물질이라 가소재 등을 사용해 유연하게 만든 다음 필름, 시트, 성형품, 캡 등 다양한 제품으로 가공합니다.
- 독성이 매우 심하고, 대부분 공업용으로 사용되며, 재활용할 수 없습니다.
-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PVC를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물질인데 생식계 장애를 일으켜서 불임이나 성조숙증을 일으킵니다.
- 이 물질은 먹이사슬 안에서 사라지지 않고 이동되어 암을 유발하고 면역과 생식계에 해를 끼칩니다.
- 스웨덴, 스페인, 독일의 일부 지역에서는 PVC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PVC는 어린아이들이 매일 사용하는 가방, 실내화, 줄넘기, 필통 등 우리의 생활 곳곳에 사용되고 있어서 대체할 물건을 찾아야겠습니다.

정리해보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이 어디에 속하는지 조금은 이해가 됩니다. 유해한 프탈레이트가 사용된 PVC가 아이들의 학용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