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교육/강의

[강의]탄소중립Carbon Neutral과 탄소 배출권 거래Carbon Emission Trading로 인한 산업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_강의요

by bandiburi 2020. 12. 10.

 

Brinknews에서 인용

 

기후변화나 지구온난화와 같은 말이 점점 더 많이 언급이 되고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아주 서서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일부 기후변화 전문가나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멀리 유럽연합에서 탄소거래세 등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지난 10월 말에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탄소중립이 뭐고 왜 필요한지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미흡한 것이 사실입니다.

에코앤파트너스(ECO&PARTNERS)2℃ 임대웅 대표가 오셔서 '기후변화와 탈탄소화'라는 제목으로 이 분야에 대한 최신 동향을 강의해 주셨습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가 얼마나 심각한 것이고, 탄소중립을 이루는 것이 국가와 금융계 및 기업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어쩌면 기존의 수익구조가 탄소저감 활동 정도에 따라서 악화되어 사업을 접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주요 강의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요즘을 3C의 시대라고 합니다. 3C는 Corona, China 및 Climate Change를 의미합니다. 코로나는 언택트 산업으로의 변화 속도를 높였고, 중국은 미국에 버금가는 경제규모로 성장하고 G2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기후변화는 이미 우리 가운데와 있는지도 모릅니다. '18년 여름의 고온 더위, '19년의 따뜻한 겨울 그리고 '20년 길었던 장마가 기후변화를 대변하고 있습니다. 지구가 아프다고 하소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기후변화에 대한 이슈는 매년 다보스포럼에서도 경영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로 선정됩니다. NASA의 Global Climate Change라는 웹사이트를 보면 지구의 온도가 높아지고 빙하가 녹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기후변화가 환경의 변화일 뿐만 아니라 실물경제와 금융시스템에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앞으로 더욱더 관련성이 높아지기에 기후변화의 경제학 측면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영란은행(BOE: Bank of England)에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기후변화가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금융시스템에도 영향을 준다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보면, 어떤 강을 따라서 공장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공장 하나가 홍수에 침수되어 유해물질이 강으로 흘러들었습니다. 오염수가 강을 타고 내려오며 하류의 많은 회사부지를 오염시켰습니다. 피해를 입은 회사들은 보험사에 보상을 청구합니다. 그럼 보험회사는 타격을 받아 망할 수 있습니다. 보험회사와 거래하는 은행도 영향을 받습니다.

BOE는 중앙은행으로 금융안정성을 책임지고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해 먼저 얘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이 보험사들이 기후변화 요인으로 얼마나 보상을 해줬는지 들여다 봤습니다. 그랬더

 

by Nice and Serious

 

니 기후 재난으로 인한 보험금 청구액이 자그마치 전 세계적으로 420조원 규모가 되었습니다.


GDP 규모로 보자면 세계 40위권 경제규모로 오늘날의 말레이시아의 수준으로 말레이시아의 GDP를 날려버린 것입니다. 이미 BOE는 '16년부터 기후변화에 대해 얘기하고 있습니다. 이런 BOE의 논리 때문에 기후변화가 실질적으로 금융 시스템으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즉, 격상되었습니다. BOE의 활동에 대해 중국이 제일 먼저 화답했습니다. 왜냐하면 중국에서도 금융 관점에서 기후를 보기 시작했다고, 녹색금융을 통해 그린 뉴딜을 하겠다는 입장이었습니다.

기후변화의 물리적 위험이 2100년에는 GDP의 25%에 해당하는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기후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한다면 4% 수준까지로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21년 1월 1일부터 파리기후협정이 발효됩니다. 모든 국가가 의무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기존의 교토의정서는 프로토콜에 그쳤지만 파리 기후협정은 Agreement여서 이를 지키지 않으면 페널티가 가능하며 강제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각 국가별로 탄소 배출을 얼마나 줄일 것인지 자발적으로 UN에 제출했습니다. 가이드라인이 없다 보니 나라마다 많이 달랐습니다. 적극적인 나라들은 지구 온도를 2℃ 이내로 될 수 있는 목표를 잡았고 일부는 3℃ 목표였지만 우리나라나 일본 중국 등은 4℃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대부분의 중공업 중심 수출기업을 보유한 국가들의 4℃ 목표입니다. 한국이 국제적으로 기후악

 

by Francesca Ameglio

 

당이라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2030년까지 4℃이내를 목표로 하는 것도 우리에겐 큰 목표입니다. 만약 국가의 목표를 3℃, 2℃, 1.5℃까지 낮춰간다면 우리에게 어떤 부담으로 다가올까요? 산업혁명 이전에는 화석연료를 많이 쓰지 않았기에 파리기후협정의 목표는 산업혁명 이전 대비 2℃ 이내로 상승하는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많은 생물학자들이 얘기하기로는 지구의 온도가 2℃ 이상 상승하면 생물의 멸종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국가별로 대응노력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유럽연합은 2019년에 유럽형 그린딜을 발표했습니다. 내용으로는 2030년 감축목표를 강화하고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며, 탄소국경세를 제안하고, 2030년까지 1조 유로를 예산으로 투자하겠다고 합니다. 결국 유럽연합은 산업을 육성해서 전 세계의 경제 패권을 가져가겠다는 생각입니다. 또한 2020년 유럽 기후법 심의를 완료했습니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개별 회원국까지 의무화하겠다는 내용으로 감축경로의 규범성을 강화할 에정입니다(시행령에서 법률로)

그리고 탄소국경세('21년 도입 목표)는 에너지 집약도가 높은 철강, 화학, 시멘트 등이 대상 산업에 해당 전망됩니다. EU 수준의 탄소가격제 도입 국가는 예외로 인정하겠다고는 합니다만 EU와 우리나라 간에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가 배출권을 많이 받아서 잉여분을 파는데 비해 EU에서는 배출권을 사게 되었습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EU 대비 비용을 덜 지불하지 있습니다. EU에서 탄소배출은 Scope1, 2, 3가 있으며, 우리는 Scope 1, 2에 대해 EU는 Scope1에 대해서 따진다. 우리에게 미칠 영향을 다져봐야 함.

미국의 경우 2019년 그린 뉴딜이 하원에서 결의 되었습니다. 전력수요를 100% 재생에너지로 가겠다고 하며(RE100 기업이 참여하는데 국가가 참여하겠다는 것), 공정한 전환(Just Transition)을 통해 탄소중립과 일자리를 창출해서 기존의 일자리도 지켜가겠다고 합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조 바이든 차기 대통령은 2020년 7월 기후대책 공약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했습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이 206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발표했고, 2030년에는 배출량을 감소세로 전환하고 206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하였습니다. 현재 전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의 3분의 2가 중국과 인도에서 진행 중입니다. 일본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발표했고, 석탄 화력 발전 정책의 근본적 전환과 이산화탄소 재사용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합니다. 이산화탄소 재사용 기술 개발은 일본과 영국이 집중해서 참여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2021년도 정책 수립 시 기후위기 대책에 대해 반영했으며, 포스트 코로나 전략으로 그린 뉴딜이 나왔습니다.


한편 주요 산업별 글로벌 기업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노력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자동차 섹터에서 다임러사의 경우 'Ambition 2039'를 통해 이산화탄소 무배출 및 탄소중립으로 만들겠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체 생산공장뿐만 아니라 협력업체까지 참석해야 합니다. 매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로 실적을 발표하므로 목표가 남의 일이 아닙니다.

전기전자 섹터를 보면 애플은 'Carbon Neutrality 2030'에서 본사와 협력업체까지 탄소중립을 하겠다고 합니다. 2020년까지 4GW의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겠다고 하며 재생에너지 협약에 서명해야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더 나아가 'Carbon Negative 2030'을 발표해 중립이 아니라 저감 하겠다고 하며 2050년까지 협력사까지 1975년부터 배출해온 모든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섹터에서는 Orsted사가 'Carbon Neutral(2025)& Supply Chain(2040)'을 발표했습니다. 협력업체는 2040년 탄소중립 목표로 매년 얼마나 이산화탄소를 줄일 건지 또 주기적으로 줄였는지 물어볼 거고 준수하지 않으면 거래가 중단될 것이라고 합니다.

녹색금융 주류화와 기업가치 관리(Investors Rel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정부예산이 513조(2020년), 명목 GDP가 1,919조(2019년), 금융기관 총운용자산이 6,347조(2019년)입니다. 앞으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곳에 돈이 가지 않게 해서 Risk 관리를 강화하게 됩니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기업에는 돈이 흘러가지 않게 하고 지속 가능한 기업 쪽으로 가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정의가 필요합니다. 녹색경제 분류체계 정의를 만들고 있어 이를 Taxonomy라고 합니다. Green Taxonomy - 중간지대- Brown Taxonomy로 구분해서 Green 쪽으로 돈이 흘러가게 하자고 EU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을 할 때 기후환경 Risk를 고려하면 됩니다. 이렇게 질문합니다.

"어디에 투자했어? 투자한 곳의 온실가스 총량은 얼마고, 당신 회사가 배출한 것은 얼마나 되는가?"

그러면 금융기관은 여러 섹터에 있는 기업으로부터 배출가스 계산한 것을 모아서 금융감독원에 제출하게 됩니다. 다배출 기업에 대해 온실가스 목표온도에 따라 시나리오별로 재무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을지 산정이 가능합니다.

가령 1.5℃ 기준으로 배출가스 비용을 고려해서 기업이 원리금 상환이 어려울 경우에는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빼거나 가지고 있더라도 부실화 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충당금을 쌓아야 합니다. 하지만 금융기관 입장에서 충당금을 쌓는다는 것은 대출이 줄어 수익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금융회사가 바뀌고 실물경제가 바뀔 수밖에 없습니다.

블랙록Black Rock은 2,3년 전만 해도 석탄 관련 기업에 많이 투자했으나 이제는 바뀌어 기후리스크를 외면한 기업엔 투자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블랙록의 운용자산은 7,000조 원 수준으로 1등 자산운용사입니다. 다른 연기금도 이와 같은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도 2년 내에 자산의 50%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방식으로 투자하겠고 합니다. 다시 말해서 주식과 채권에 250조 수준입니다.

신한금융그룹은 제로카본 드라이브를 선언해 2043년 그룹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2050년 자산 포트폴리오의 탄소중립 선언했습니다.(SBT의 2도 시나리오)

섹터를 나누고 다배출업종(발전, 부동산, 철강, 제지, 시멘트, 수송)에 대해 2℃ 목표를 수립하고, 철강과 관련해서는 연도별 1톤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기준이 2050년까지 세팅되어 있습니다.


TCFD(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는 2017년도 6월에 나왔으며 BOE에서 주로 언급했습니다. 기후변화는 재무적 이슈인데도 재무제표에 반영이 안 되는 이슈가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재무제표에 탄소배출권 거래비용을 넣고 있습니다만 아직 포함하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다배출 업종인 철강업의 포스코에 대해 계산해 보겠습니다.

포스코의 이산화탄소 배출량(Scope1,2) 8,024만톤/연 × 이산화탄소 한계저감비용(기후변화 2도나 1.5도 기준) $75/co2톤(2030년)
= $6billion/연(6.66조원/2030년)

2019년 포스코의 매출은 64조원에 당기순이익은 2조 원이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6.67조 원인 것입니다. 이런 정보는 이미 신용평가회사에서 가지고 있습니다.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계저감비용을 고려해서 계산하며 신용평가회사들이 이것을 전 세계 금융기관에 뿌리고 있습니다. 위의 계산은 한계저감비용을 2030년 기준으로 봤는데 그 이후에는 더 비싸집니다. 이런 로직에서는 패러다임을 전환하지 않으면 금융기관과 사이가 안 좋아질 수 있다.

SBT(Science Based Target)에서 철강섹터에 대해 원단위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9년 톤당 1.167 CO2가 2030년 0.689으로 2℃ 시나리오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SBT가 작동되는 원리는 1.5℃나 2℃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계산한 것입니다.

세 가지 방법론이 있습니다.

1. Intensity에 따라 배출허용한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투자하자.

2. 대출하고 투자하는 모든 회사에 대해 2040년까지 SBT 목표를 정하고 승인을 받도록 하자.

3. 우리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온도로 전환해서 자산포트폴리오의 가중평균으로 온도가 몇 도인지 표현하자 (어디는 2℃, 1.5℃, 4℃로 다를 수 있으므로)

EU는 녹색 철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제품별로 톤당 CO2 기준이 있습니다. EU의 배출권 거래제(ETS)에서 Product Benchmark를 사용하며 한국의 Product Benchmark는 5~6년의 시간을 가지고 검증된 데이터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EU와 우리가 차이가 있어 협의가 필요합니다.

EU가 제시한 숫자 이내면 Green Taxonomy에 해당해서 금융회사에서 투자를 하지만 제시 기준을 넘으면 투자를 꺼리게 됩니다. 그래서 이 기준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수치를 면밀히 보면서 우리식으로 재해석하고 수치에 미치지 못하면 대응논리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국가에서 산업레벨로 그리고 금융권으로 오면서 우리에게 큰 도전을 안겨주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문제는 지금의 방식으로는 문제를 풀 수 없다는 것으로 경영자 입장에서 효율을 개선해서 문제를 풀 수 있는 것인지, 생산방식을 바꿔야 하는지, 업(비즈니스)을 접고 다른 업으로 가야 하는지 결정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