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728x90
반응형

교육/강의80

[강의]BTS 피 땀 눈물부터 비주얼 리터러시와 미술작품 소개_상상이 세상을 만날 때_양정무 교수(220714) 2022년 7월 중순, 양정무 교수가 미술과 상상력에 대한 주제로 조찬 강의를 했다. 미술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은 직장인으로서 새로운 세상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가 했던 주요 강의 내용을 포스팅한다. 의사들이 미술을 볼 때는 미술이 진짜라고 생각하고, 나와 같은 사람은 미술이 약간은 가짜라고 생각하며 본다. 상상을 통해, 꿈을 통해 새로운 세계로 이끄는 매력있는 장르가 미술이다. 나는 미술사를 공부하는 사람이다. 미술이 마법이 되는 순간에 대해 다섯 가지로 나눠서 강의를 진행하겠다. 첫째, 천재들의 마음이 보일 때! 스티브 잡스 자서전에 있는 사진을 소개한다. 불치의 병을 앓며 자기의 자서전과 같은 기록을 남긴다. 미학적 가치를 제품에 집어넣는 애플이다. 자기 이미지를 어떻게 생각했을까를 고.. 2022. 7. 17.
[강의]2030년 교육과 노동시장의 급격한 변화 대비_인구학적 상상력으로 기획하는 미래가 필요하다_조영태(220707) 3년 만에 회사에서 조영태 교수를 다시 초청해서 인구 변화에 따른 대응방안에 대해 강의를 들었다. 50대를 시작하는 부부의 인생 후반전과 20대를 시작하는 세 자녀의 미래의 모습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래서 관심을 가지고 들었다. 크게 두 가지 인사이트를 얻었다. 첫째, 2030년 이후 우리 사회의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노동시장과 교육시장이 바뀐다는 점이다. 대학에 목을 메어 시험 중심으로 준비하기보다 자신이 해보고 싶은 분야에서의 경험과 실력이 중요해진다. 그리고 연금 고갈 이슈로 정년이 연장될 수밖에 없어 중년층의 지속적인 능력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인구구조는 정해져 있어 바꿀 수 없기에 기업이나 개인은 인구학적 상상력을 가지고 준비해야 한다. 우리보다 앞서서 고령화와 인구감소.. 2022. 7. 9.
[강의]ESG시대 공정거래정책과 자율준수프로그램 Compliance Program 중요성_이준길 법무법인 지평 고문(220623) 준법감시인, 공정거래정책 등 뉴스 기사에서 보기는 했지만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강의를 들었습니다. 1시간 30분이라는 한정된 시간이지만 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한 발을 올려놓았다는 만족감을 주는 법무법인 지평의 이준길 고문의 설명으로 주요 내용에 대해 정리해서 포스팅합니다. ○ 도입부 민간과 공공분야 간에 통역사가 필요하다. 민간은 민간대로 공공은 공공대로 생각한다. 중간에 통역한다는 게 양쪽을 다 설득해야 하기에 힘들다. 오늘의 주제는 'ESG 시대 공정거래정책과 우리의 대응 방안, Compliance가 답이다'이다. 강연 준비를 하며 TED, 세바시 강의를 열심히 봤다. 너무나 훌륭한 분들이 많았다. 피트니스 센터에서 유심히 보는 부분이 있다. 수전 위에 있는 콘센트다. 물이 튀.. 2022. 6. 24.
[강의]이산화탄소와 메탄 농도 관측과 예방 등 기후위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_정수종 교수(220616) 세계적인 경영환경 변화에 뒤처지지 않도록 회사에서는 매월 전문가를 모시고 강의를 하고 있다. 금월에는 서울대 환경대학원의 정수종 교수가 기후변화의 원인과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어떤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지 설명했다. 이미 여러 번 들었던 내용과 용어들이 많아 아주 어렵지는 않았지만 처음 듣는 구체적인 부분도 많아 기후변화에 대한 글로벌 트렌드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정 교수의 강의 내용을 정리해서 포스팅한다. (이하 강의 내용 정리한 것이다) 우리는 환경을 공공재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너무 강하다. 도로, 가로수, 공원과 같은 공공재는 우리가 안 해도 지방자치단체에서 할 거라는 믿음이 있다. 그래서 스스로 변화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위해서 기업과 같은 이익을 추구하는 단체에서.. 2022. 6.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