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라이프/영화

[영화]폭삭 속았수다_인생 가족 눈물 사랑 제주 복고에 대한 넷플릭스 드라마

by bandiburi 2025. 4. 20.

(출처: Wikimedia Commons)

아내와 딸이 넷플릭스 드라마 <폭삭 속았수다>에 푹 빠져서 매주 다음 편을 기다리는 모습을 봤다. 
재미있다며 적극 추천했지만, 다음에 몰아보기로 보겠다며 미뤘다. 
직장 동료들과 회식 자리에서 이구동성으로 <폭삭 속았수다>를 추천한다. 

그래서 주말에 16편 시리즈를 몰아서 봤다. 
<오징어게임>이 처음 공개됐을 때처럼 푹 빠져서 연이어 봤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내용으로 눈물샘을 자극하는 내용이 반복된다.
아내가 친구들과 여행을 떠난 주말에 혼자 눈물을 흘리며 봤다.

몰아보기를 마친 직후 기억이 휘발되기 전에 느낀점을 아홉 가지로 정리해서 포스팅한다. 

  1. 오애순과 양관식의 사랑과 가족 이야기를 통해 부모의 자식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전한다
    메 제주도 한 마을에서 가난하게 자라는 중 사랑이 싹트고 가족을 이루며 살아가는 이야기다.
    애순의 아역으로 나온 배우의 연기가 귀엽고 리얼해 인상적이다.
    문학소녀 애순이 힘들 때면 늘 억척스러운 해녀였던 엄마 광례의 삶에 대한 열정과 고집을 떠올리며 힘을 낸다.  
  2. 관식의 애순에 대한 사랑은 죽음에 이르기까지 한결같다. 
    애순은 그를 무쇠같다도 한다. 
    관식의 성실함은 빠르게 뭔가를 얻고자 하는 시대에 대한 메시지다. 
  3. 제주도의 육지와 바다의 아름다움이 화면 곳곳에 배치되었다.
    동일한 장소라도 이렇게 그림처럼 예쁘고 인상적인 화면으로 바뀔 수 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드라마를 촬영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이 들어갔을까
    가성비 좋은 식당에서 만족하면서 나오는 듯한 드라마다. 
  4. 애순과 관식의 사랑으로 금명, 은명, 동명이 태어나 행복했지만 동명의 죽음은 평생 부모의 가슴에 남는다.
    어려운 시절을 힘들게 살아가면서 금명은 서울대에 들어가는 자랑스러운 존재가 되었다. 
    은명은 사고를 치며 혼전임신으로 결혼하는 등 부모에게 걱정을 안기며 성장한다.
    자식에 대한 희망과 실망도 결국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억으로 변한다. 
  5. 가족과 이웃들과의 관계 속에서 희로애락이 반복된다.
    삶이란 서로가 서로를 도와주고 위로하며 살아내는 과정이다. 
    누구나 마음속에 악한 마음도 있겠지만 결국은 선한 마음으로 돌아온다. 부상길이 좋은 사례다. 
  6. 과거의 장면을 최대한 그대로 재현했다. 
    1960년대부터 2025년 현재까지 그 시대의 거리, 차량, 간판 등을 화면에 담아냈다. 
    특히 책이나 장난감, 과자, 성냥 등 소품도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그 시절을 떠오르게 한다. 
  7. 아이유가 오애순과 오애순의 장녀 양금명의 역할을 잘 소화했다. 
    엄마와 딸의 역할을 모두 하기에 처음에는 혼란스럽다. 
    드라마의 핵심 인물인 오애순과 양금명의 역할 속에 눈물 연기가 3할이라고 하겠다. 
    아이유는 눈물 연기를 아주 자연스럽게 하며 보는 이의 눈물을 자아낸다. 
  8. 시간이 수시로 교차한다. 
    오애순과 양금명의 시간이 중심이다.
    이들의 어린 시절, 학창 시절, 신혼 시기, 자녀 양육 시기, 노년기가 이야기에 따라 수시로 오간다.
    과거에 했던 말과 행동이 현재의 이야기와 연결되는 부분이 많은데 나쁘지 않았다. 
  9. 우연한 만남 속에 베풀었던 선행이 인생길에서 도움을 준다. 
    마치 추리소설처럼 우연히 통쾌함을 주는 장면이 몇 군데 삽입되어 있다.
    전편에서 엑스트라처럼 지나가는 인물들이 뒤편에서 애순과 금명에게 도움을 준다. 
    애순과 관식이 제주를 떠나 부산 여관에서 도움을 준 여인이 금명이 아르바이트할 때 누명을 벗겨준 사례와
    관식이 자살하려던 여인에게 삶을 살아갈 힘을 준 결과 노년에 가게를 차렸을 때 유명인이 되어 홍보해 준 사례다.
    일상 속에서 진심으로 사람들을 대하라는 메시지로 다가왔다. 

좋은 드라마나 영화는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한다. 
부모나 자녀에게 한 번 더 전화하고 방문하게 하는 힘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