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존 명사-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따로 쓰지 못하고 앞에 위치한 다른 말과 함께 써야 하는 명사.
예) 네가 알려준 만큼만 넣었어.
2. 산정[算定]- 셈하여 정하다.
예) 부담금이 들쭉날쭉한 것은 구청은 미래 집값을 높게, 조합은 낮게 산정한 결과다.
3. 평형- 평(넓이)
예) 또한 조합원의 매입 시기와 가격이 천차만별인데 같은 평형에 대해
동일한 부담금을 물리는 것도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많다.
4. 자평-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평가함.
예)“고용 감소 효과는 없고 소비 증가는 뚜렷하다”고 자평했다니 답답하다.
5. 사심관제도- ???고려시대
향직을 통괄한 지방관.
예) 이에 여러 공신도 이를 본받아 각각 그 본 주의 사심관이 되었다.
6. 자문- 어떤 일을
좀 더 효율적이고 바르게 처리하려고 그 방면의 전문가나,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기구에 의견을 물음.
예) 그 고을 일의 자문에 대비하니 이를 기인이라고 하였다.
7. 주지- 절을 주관하는
승려.
예) 사찰을 세우고 주지를 파견하여 불도를 닦도록 하라.
8. 의관- 남자의 웃옷과
갓이라는 뜻으로, 남자가 정식적으로 차려 입는 옷차림.
예) 거란은 짐승과 같은 나라이므로 그들의 의관 제도는 따르지 말라.
9. 매양- 번번히
10. 빙자- 말막음을
위하여 핑계로 내세움.
예) 향호가 매양 공무를 빙자하여 백성을 침해하여 횡포를 부리어 백성이
견디지 못한다.
11. 기인 제도-고려 초기에 지방 호족에게 지방 자치의 책임을 맡게 하는 동시에 호족을 통제하기 위해 그들의 자제를 수도에 볼모로 잡아 두던 제도. 기인제.
'교육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방어 회식 중 알게된 사실_저렴한 부시리가 유사점이 있다(191212) (0) | 2019.12.15 |
---|---|
[용어] 매생이국에 얽힌 사연 (191204) (0) | 2019.12.15 |
[과학]빛의 굴절에 대한 질문_YW(180524) (0) | 2018.05.25 |
새로운 용어_외무성 국영기업 민영기업 내수시장(180520) (0) | 2018.05.22 |
새로운 용어_낙마 정명론 타계 조전 해빙(180519) (0) | 2018.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