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86 [916]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교과서 ②_GPT용 프롬프트 일곱 가지 실습 결과 1부에 이어서 에서 소개하는 테크닉에 대해서 실습한 결과를 포스팅합니다. Technique 6 : 슌스케 템플릿 기법슌스케 템플릿 기법은 작업의 결과물을 만들기 위한 재료를 '변수'의 형태로 명시합니다. 또한, 작업의 순서를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명시함으로써 AI 모델이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슌스케 템플릿 기법은 더 복잡한 작업을 다룰 때는 한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83)#콘텐츠의 상세이 콘텐츠는 블로그 글입니다. #변수[독자] = 30대 남성[키워드] = 애플워치[흥미] = 애플워치 깨끗하게 쓰는 법#커맨드[C1] = [키워드]에 대한 [독자]의 [흥미]를 반영하여 [독자]를 대상으로 한 블로그의 아웃라인을 작성해 주세요. [C2] = 아웃라인을 따라 블로그 글을 최종 작성.. 2024. 7. 28. [916]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교과서 ①_GPT용 프롬프트 다섯 가지 실습 결과 2022년 말에 챗GPT 열풍이 시작된 이후 가정이나 직장, 학교에서 GPT를 이용하는 사람이 늘었습니다. 직장에서도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에 맞는 GPT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사내에서도 챗GPT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단순히 채팅을 하듯이 입력하기보다는 프롬프트를 제대로 입력했을 때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배우고 익힐 필요가 있습니다. 도서관에 이와 관련된 서승완의 책 라는 초급자용이 있어 읽으며 직접 구글 Gemini(무료)와 챗GPT 4o(유료)를 연습했습니다. Wow! 놀랍습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12가지 방법을 적용하면서 결과를 보니, 제대로 사용한다면 업무나 학업 효율을 월등히 높일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습.. 2024. 7. 28. [용어]아파트 평수를 늘리다와 늘이다 맞는 표현은 늘리다 블로거를 부케로 책과 일상의 다양한 소재에 대해 쓰고 있습니다. 일부 단어는 구어체와 달리 문어체로 사용할 때 혼란스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가령 아파트의 평수를 늘리다가 맞는지 아파트의 평수를 늘이다가 맞는지 헷갈립니다. 국립국어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아파트의 면적을 크게 한다고 할 때에 늘리다와 늘이다 어느 것이 맞는 맞춤법을 확인해 봅니다. ● 올바른 표현 : 평수를 늘리다 아파트의 면적을 크게 한다는 의미를 표현할 때 '늘리다'와 '늘이다' 중에서 맞는 맞춤법은 '늘리다'입니다. ● 설명 (출처: 국립국어원)'늘리다'는 '양이나 크기, 수효 따위를 본디보다 더 많거나 크게 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파트의 면적을 더 크게 한다는 의미를 표현할 때는 '늘리다'가 맞습니다.반면, '늘이다.. 2024. 7. 28. [용어]영지주의 靈知主義 Gnosticism 의미와 사례 세 가지 조지프 캠벨의 책 은 신화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책의 내용 중에 영지주의라는 용어가 몇 군데 언급되고 있습니다. 영지주의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영지주의에 대한 의미를 정리하고, 조지프 캠벨의 책 에서 사용된 문장을 세 가지 포스팅합니다. ● 의미영지주의(靈知主義, Gnosticism)는 고대 및 중세 기독교 교리의 일부로, 영적 지식(Gnosis)을 통해 구원을 얻는 것을 중시하는 신비주의적 사상입니다. 영지주의자들은 물질세계를 부정하고, 영적인 깨달음을 통해 진리를 발견하려 했습니다. 이들은 신적 지식이 내면의 탐구를 통해서만 발견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 세 가지 사례1. "중세 영지주의자들은 물질 세계를 부정하고, 내면의 영적 탐구를 통해 진리를 발견하려.. 2024. 7. 28.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9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