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독서습관

독서습관80_세상을 쟁기질하는 바보들의 시골집 이야기_임락경_2010_홍성사(180630)

by bandiburi 2018. 6. 30.

저자 임락경은 1945년 순창에서 태어났다. 유등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7세에 '맨발의 성자' 이현필 선생의 가르침을 받고자 동광원에 들어가 결핵 환자들과 15년을 지냈다. 

1980년부터 강원도 화천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장애인과 '안장애인'이 섞여 사는 집 시골집(교회)에서 유기농 콩을 심어 된장과 간장을 만들고, 직접 꿀벌을 친다. 돌파리, 즉 '이치를 돌파한 사람'이라 말하는 그는 정농회 회장, 북한강 유기농업 운동연합 초대 회장, 화천군 친환경농업인연합회 초대 회장, 상지대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감리교 제2연수원에서 '임락경의 건강교실'을 10년째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돌파리 잔소리>, <촌놈 임락경의 그 시절, 그 노래, 그 사연>, <먹기 싫은 음식이 병을 고친다>, <흥부처럼 먹어라 그래야 병 안 난다> 등이 있다.

728x90

임락경 목사의 책 <먹기 싫은 음식이 병을 고친다>를 찾다가 제목에 속아서(?) 읽게 되었다. 단순히 '시골집'이 시골에 지은 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 이름이었다. 그리고 그곳에서 벌어지는 장애인과 안장애인들 약 30여 명이 함께 생활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적어 놓은 책이다. 책을 덮으며 임락경 목사는 자신의 책 제목처럼 '돌파리', 세상의 이치를 깨우친 사람이다. 초등학교까지 정식 교육을 마치지 못했지만 장애인들과 생활을 합법적으로 하기 위해 목사가 되었다. 친자식도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산다면 부모로서 힘든 일일 텐데 자립할 수 있도록 시간은 걸리지만 바람직한 식습관, 생활습관을 통해 도와준다. 

 그리고 자립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시골집으로서 주변인들의 지원을 대놓고 원하지 않고 자립하기 위해 노력한다. 저자는 할 수 있는 것이 참 많다. 요즘 같이 대학을 위해 공부만을 강조하고 전공이 정해지면 다른 것은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 시대에는 더욱 특별한 사람이다. 10대 시절부터 결핵환자를 돕는 일을 했으며, 집을 스스로 지을 줄 알고, 수맥을 볼 줄 알고, 초상이 나면 시체에 염을 할 줄 알고, 마을에 어려운 일이 있으면 달려간다. 

 시골집 교회도 직접 지은 것이다. 무엇보다도 소중한 것은 한 사람에 대해 귀하게 여기는 마음이다.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두고 가더라도 내치지 않는다. 그런 사람들과 몇십 년을 함께 살고 있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이 분이 겪은 삶이란 것이 도시에서 살면서 재테크로 아파트로 부자 돼야 한다는 마법에 걸려 살고 있는 도시인인 나에게 부끄러움을 깊이 느끼게 한다. 

 여러 사회단체나 교회에서 어려운 이웃을 돕자며 방문하는 사례가 많이 있다. 시골집에도 화천군 주변의 군부대에서, 교회에서, 학교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런 행위가 보여주기식이 되어 시골집에 필요한 쌀이나 돈이 아닌 불필요한 라면, 과자 상자 등 일방적으로 주어진다는 것이 아쉽다고 한다. 그리고 장애인들은 자신의 사진이 찍히는 것을 원하지 않는데 보여주기 위해 모두를 모이라고 해서 라면상자 가득히 배경을 두고 사진을 찍으려 했다는 것은 지금도 적지 않게 벌어지고 있는 일일 것이다.

[280] 장애를 비관하지 않고 극복하는 사람들은 아름답게 보인다. 저마다 타고난 소질을 개발하고 우리의 처지를 약진의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 또 창조성과 개척 정신을 길러야 한다. 사익이 아닌 공익을 앞세우며 질서도 있어야 한다. 허상이 아닌 능률과 실질을 숭상하고 경애와 신의에 뿌리박아 상부상조의 전통을 이어받고 명랑하고 뜨듯한 협동 정신을 길러야 한다. 이러한 생각을 지닌 장애인들은 집에서 내보내려 하지 않는다. 집안에서도 꼭 필요한 식구 중의 식구다. 

다만 이 책의 편집상의 아쉬운 점이 하나 있었다. 의도적인 것일수도 있겠지만 반복되는 내용이 몇 번 있었다. 이건 앞에서 읽었던 내용인데... 

 늘 헌옷만을 입는 임락경 목사는 이로 인해 모임에서 오해도 많이 받았지만 신앙인으로서 무엇보다 한 사람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생각을 실천하기 위해 평생을 살고 있다. 우리는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자유로우면서도 일하지 않는 부류는 아닐까. 부모로서 우리의 모습과 아이들을 제대로 양육하고 있나 하는 걱정도 된다. 

 봉사활동을 통해 타인의 고통을 내 것처럼 생각하는 마음, 어떤 상황에서도 자립할 수 있는 마음을 키워 멀쩡한 신체를 받았는데 무기력하게 남을 돕기보다 의지해서 사는 사람으로 자라면 안 되겠다. 

[78] 떼거지였던 나병환자들 선교비 받아 쓰려면 그곳에 생활하고 있는 환자들보다 더 어렵게 생활해야 한다. 먹고 싶다고 불고기 사 먹으면 안 되고, 편리하다고 택시 타고 다녀도 안된다. 입고 싶다고 비싼 옷 사 입어도 안 된다. 약속 장소 불편하다고 찻집에 앉아서 비싼 찻값을 지불해서도 안 된다. 선교비 받아 쓰면서 호텔에서 자도 안 된다. 먹고 입고 자는 생활을 거지보다 못하게 하며 살아가려는, 그런 각오가 있어야 그곳 선교비 받아 살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