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블랜더 거실
독서습관

[875]가녀장의 시대_남성과 나이 중심 사회에 대한 저항하는 출판사 사장 슬아

by bandiburi 2024. 4. 22.

작은 책 한 권이 가부장제의 대안이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저 무수한 저항 중 하나의 사례가 되면 좋겠습니다. 길고 뿌리 깊은 역사의 흐름을 명랑하게 거스르는 인물들을 앞으로도 쓰고 싶습니다. 새로운 방식으로 관계 맺는 가족 이야기만큼이나 가족으로부터 훌훌 해방되는 이야기 또한 꿈꾸고 있습니다. 사랑과 권력과 노동과 평등과 일상에 대한 공부는 끝이 없을 듯합니다. 이 공부를 오래할 수 있도록 길고 긴 세월이 제게 허락되기를 소망합니다. (311)

위의 문장이 이슬아 작가가 <가녀장의 시대>를 쓴 목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 남성 중심의 사회, 가부장적 사회, 여성의 존재가 희미한 사회를 넘어서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가 보인다. 가녀장의 시대는 파격적이다. 부모가 아니라 모부라고 부른다. 아버지, 남성은 대우받지 못한다. 딸과 엄마가 주도권을 쥐고 가족기업을 꾸려간다. 특히 나이가 많은 사람이 아니라 어린 딸이 가족기업의 사장이다. 아빠와 엄마를 고용한다. 

실제 저자의 이름이 주인공으로 들어가 있고 엄마와 아빠의 이름도 거의 동일하다. 실제로 이슬아 작가는 해엄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다. 아내와 함께 아주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남녀평등과 동성애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다. 

책의 내용중에서 주인공인 슬아 사장이 생방송에 나갔을 때 남성 출연자와 달리 여성인 자신에게만 유두가 보이는 것에 대해 저항하는 부분이 강한 인상을 남긴다. 사회적으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것들에 대해 의문을 가지라고 하는 저자의 의도라고 본다. 

다음은 책에서 남기고 싶은 문장과 간단한 소감을 포스팅했다. 

 

여자 어른들은 집안일을 했고 남자 어른들은 바깥일을 했으며 어린이들은 말을 배웠다. 말이란 세계의 질서였다. (8)

'말이란 세계의 질서였다'는 문장이 마음에 깊이 와닿는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은 사회를 반영한다.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조부모가 하는 말은 그대로 부모에게 그리고 자녀에게 전달된다. 남성 중심의 사회가 그대로 답습되고, 연장자 위주의 관습이 그대로 남는다. 하지만 핵가족에서 일인가족 중심으로 변하는 시대다.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살기 어려워지는 시대다. 지금은 말에서 저항이 일고 있는 시대다. 

그들의 집에는 가부장도 없고 가모장도 없다. 바야흐로 가녀장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23)

'가녀장'이란 말을 참 잘 만들었다. 부모를 반대로 한 '모부'도 마찬가지다. 딸이 부모를 고용해서 가족기업을 꾸려간다는 자체가 신선하다. 실제로 그렇게 운영되는 회사도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이지 않기에 독자에게는 신선하게 다가온다. 

안방은 지하에 위치해 있다. 낮잠 출판사의 맨 아래층이다. 맨 위층에는 슬아의 고풍스러운 서재와 침실이 있다. 그 아래엔 출판사 사무실이 있고 더 아래엔 슬아의 옷방이 있다. 복희와 웅이의 공간은 가장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 슬아의 공간들에 비해 어딘가 남루하다. 언젠가 웅이는 영화 <기생충>을 보다가 기시감을 느끼고선 중얼거렸다. "우리집 구조랑 비슷하네." 낮잠 출판사는 그다지 수평적이지 않은 직장이다. 집 구조도 위계질서도 수직적인 편에 가깝다. (34)

남성 중심, 연공서열이 중시되는 사회를 비꼬아서 여성 그리고 딸이 위계질서의 상위에 위치하는 수직적인 직장이다. 영화 <기생충>에서 사회의 빈부격차를 집의 구조로 비유했듯이 <가녀장의 시대>에서도 딸의 서재와 침실이 제일 위층에 있다. 

웅이가 주로 청소와 빨래를 하고 복희가 부엌일을 책임진다. 복희의 월급은 웅이 월급의 두 배다. "엄마의 노동은 아빠의 노동보다 대체 불가하기 때문이야." 가녀장이 말했다. 이에 관해 웅이는 어떠한 불만도 없다. (40)

남성의 노동은 대체가 용이하기에 대우받지 못한다. 하지만 엄마 복희의 부엌일은 대체 불가하다고 한다. 이전에는 여성의 가사노동은 당연하게 여기고 인정받지 못했다. 하지만 가녀장은 복희의 노동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낮잠 출판사는 슬아의 필력뿐 아니라 복희의 살림력으로 굴러가는 조직이다. 슬아는 복희의 된장 연수를 된장 출장으로 명명한 뒤 출장 수당을 지급했다. 수당은 회당 이십만 원씩이고 그것이 바로 된장 보너스다. (95)

낮잠 출판사는 두 여성의 힘으로 굴러가는 조직이라고 선언한다. 그 가운데 아빠 웅이의 역할은 보이지 않는다. 

소설 속 티타도 그런 종류의 인간이었다. 하루는 티타의 음식 저장고가 텅 비어버린다. 창고에 남은 건 옥수수와 시든 콩, 그리고 칠레 고추뿐이다. 티타는 안다. 약간의 정성과 상상력만 발휘하면 훌륭한 식사를 차릴 수 있다는 것을, 별거 없는 부엌에서 성대한 칠레 고추 요리를 뚝딱 해내는 티타를 읽으며 복희는 혼잣말했다. "얘 천재네."(231)

아직까지 가정에서 엄마의 존재는 음식을 준비하는 역할을 한다. 늘 무엇을 만들까 고민한다. 냉장고에 남아 있는 음식으로 뚝딱 식사를 차려낸다. 여성의 고민을 남성들이 거의 알지 못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이 부분을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이란 책에 등장하는 티타와 엄마 복희를 부각하고 있다. 

"선생님은 먼저 선先에 날 생生이 합쳐진 말이잖아요. 먼저 태어나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죠. 제가 좋아하는 작가가 이런 말을 했어요. '내가 살아보지 못한 어떤 삶을 먼저 살아가고 있는 사람'은 모두 선생님이 될 수 있다고요."(263)

식당에서 중년 여성 종업원에게 '이모'니 '고모'니 부르는 것에 대한 작가의 저항이다. 왜 그렇게 불러야 하는가. 차라리 '선생님'이라고 부르자. 그 근거는 인생을 먼저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 선생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명은 글을 쓰고, 다른 한 명은 글쓰는 나를 감시해야 하거든." (285)

마감 기한을 두고 글을 쓰는 작가로 활동하는 어려움을 보여주는 문장이다. 누구의 간섭도 없이 글쓰기를 좋아하는 직업이 작가라고 생각하지만, 관련된 사람들과의 약속이기에 스스로를 더욱 엄격히 감시해야 한다. 슬아 사장이 자신을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한 사람이지만 두 사람의 역할을 해야만 한다. 느슨해지려는 자신을 감시하는 또 다른 자신을 둬야 한다. 

그러고 보면 작가라는 직업도 끊임없이 마감일을 두고 글을 써야 하기에 글감이 떠오르지 않을 때는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는 직업이겠다. 


독서습관 875_가녀장의 시대_이슬아_2022_문학동네(240420)


■ 저자: 이슬아

199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일간 이슬아>를 발행하고 해엄 출판사를 운영한다. 

지은 책으로 에세이 <일간 이슬아 수필집> <나는 울 때마다 엄마 얼굴이 된다> <심신 단련> <부지런한 사랑> <아무튼, 노래>, 인터뷰집 <깨끗한 존경> <새 마음으로> <창작과 농담>, 서평집 <너는 다시 태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 서간집 <우리 사이엔 오해가 있다> (공저) 등이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